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 토큰)
: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
NFT는 가상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란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디지털 예술품, 온라인 스포츠, 게임 아이템 거래 분야 등을 중심으로 영향력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NFT가 판매될 때 얻는 암호화폐를 어디에 보관해야 할까?"
"그 암호화폐를 법정통화로 어떻게 바꾸는가?"
NFT는 단일 장애점(SPOF)이자 사이버 도둑에게는 잠재적 진입점인 프라이빗 키와 연결되어 있다.
→ "프라이빗 키 관리는 CIO가 관리해야 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 될 것."
→ "공개되거나 해킹된다면 해당되는 암호화폐 세계 모든 것의 열쇠가 될 위험이 있다."
NFT를 뒷받침하는 기반 인프라가 사라질 수 있다.
주요 소프트웨어 벤더 또는 인프라 제공업체가 사라지거나 더 이상 쓸모 없어져 궁지에 몰릴 수 있다.
"대부분의 NFT는 이더리움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저장된다. 언젠가 이더리움이 사라지게 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한 NFT는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문제가 있다."
법적 문제와 관련해 NFT는 특히 모호하다.
"NFT가 있으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있는 특정 예술품, 비디오, 트윗에 관한 권리를 갖는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 세계에서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사람들이 침팬지 사진 한 장에 수백만 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이는 NFT 영역에서 가치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명백한 징후다."
https://www.ciokorea.com/news/226734
https://www.technologyreview.kr/what-is-nft/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공격)
: 특정 타겟을 대상으로 하는 지능적이고 지속적인 공격
ex 1) 스피어 피싱 : 특정 타겟을 표적으로 해서 수행하는 피싱 공격, 대부분 이메일을 통해 공격
ex 2) 워터링 홀 : 공격 대상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를 미리 알아내어 해당 사이트에 악성코드를 심어서 공격
ex 3) 공급망 공격 :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공급망 자체를 공격하여 클라이언트에 악성코드를 유입시키는 공격
2010. 7. 이란 원자력발전소를 멈추게 한 사이버 공격
2011. 4. 농협 전산망에 대한 공격
2013. 3. MBC, YTN, 신한은행을 향한 사이버 테러
[정보보안 카페] 해킹 - 12. APT 공격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8&nNewsNumb=002580100013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D / 메타버스 / NFT (0) | 2022.03.29 |
---|---|
메타버스 / 딥페이크 (0) | 2022.03.20 |
서울시 인터넷시민감시단 (0) | 2022.02.25 |
remind '-')!b (0) | 2022.01.25 |
WUDC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