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LNK)
- 'Windows Shortcut'
- .lnk 확장자 (링크파일)
- 생성 방법: 사용자가 직접 생성 or 프로그램 설치 시에 생성 or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생성
dir 명령어로 바로가기가 lnk 파일이라는 것을 확인 가능
속성 - 대상에서 원본 경로 확인 가능
생성 경로
바탕 화면
- %UserProfile%\Desktop (C:\Users\김기연 == %UserProfile% 예약어!)
시작 메뉴
- %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 (C:\ProgramData == %ProgramData% 예약어!)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 -> 폴더 살펴보면 바로가기 찾을 수 있음
최근 실행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빠른 실행
- %Program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TaskBar -> 작업 표시줄 고정
실습 1 (-f)
- FTK Imager 이용하여 추출, LECmd 이용하여 분석
- %UserProfile%\Desktop -> 여기서 파일 추출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 Recent 폴더 자체를 추출
[root]를 C:\라고 생각하고, 경로 따라가기
바탕화면 경로에 있는 Discord.lnk를 추출
CLI로 LECmd.exe 실행
-f에 파일 / -d에 디렉토리
Source -> 링크 파일 자체
Target -> 링크 파일의 원본 파일
즉, Target created, Target modified, Target acessed는 원본 파일의 생성시간, 수정시간, 접근시간임.
File size -> 원본 파일의 크기
상대경로, 절대경로
이외에도 환경변수 등등 알 수 있음.
실습 2 (-d)
Recent 폴더에 링크파일 엄청 많은데, 이 폴더 자체를 export
그냥 바로 .\LECmd.exe -d .\Recent\ 하면 출력이 엄청 많이 됨.
다시 help -> json이나 html로 출력 가능함을 확인
save라는 폴더 만들어줘서, 내부에 저장되도록 함.
출력 결과를 담은 html 파일이 생성되었음.
다 정리되어서 출력됨을 확인.
링크 파일만의 존재로도, 해당 볼륨에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Jumplist
- 최근 사용한 파일/폴더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구조
- 작업 표시줄에서 우클릭을 통해 확인 가능
Jumplist 종류
- Automatic: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남기는 항목. 즉, 기본!
- Custom: 응용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항목
Jumplist 실습
1. FTK Imager로 추출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AutomaticDestinations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CustomDestinations
2. JumpList Explorer 이용하여 분석
- https://ericzimmerman.github.io/#!index.md
- 추출한 Automatic, Custom 폴더 각각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들 ctrl+a로 열면 됨.
- Jump List Type에 Automatic, Custom을 확인할 수 있고, App ID에 대한 설명 중 Unknown AppId는App ID와 매칭되지 않는 개인적인 파일이라 생각하면 됨.
- 결국 분석 중에 중요한 건 경로 !
- 크롬의 경우, 자주 방문한 페이지까지 확인 가능하다.
참고
인프런 <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 손지훈>
'Forensic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ensic] 웹 포렌식 (0) | 2023.01.10 |
---|---|
[Forensic] Prefetch, MUICache, AmCache & ShimCache (0) | 2022.11.28 |
[Forensic] 시스템 파일 ($) (0) | 2022.08.20 |
[GCFA] 3주차 (0) | 2022.08.16 |
[Forensic] Windows Registry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