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에서 생성된 비디오 컨테이너의 구조와 소셜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되거나 편집 프로그램에서 조작될 때의 동작을 분석하는 데 기반
영상의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출처를 식별하고, 원본 영상과 조작된 영상을 구별하는 것이다.
3.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구조 분석
영상의 무결성 검증, 출처 식별, 원본 영상과 조작된 영상 구별을 위한 기술 제안
1) 원본 및 조작된 영상 데이터 세트 준비
- 모바일 기기 86개에서 생성된 1,957개의 원본 영상 세트 생성
- SNS에서 공유된 영상 세트 생성
-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페이스북, 왓츠앱, 텔레그램)으로 생성된 영상 세트 생성
- 편집 프로그램으로 생성된 영상 세트 생성
2) ATOM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한 각 영상에 포함된 정보의 추출
3) 컨테이너 구조 분석
- 원본 영상과 비교
- 아래 그림은 원본 비디오(애플 아이패드 에어 모델)와 Facebook HD, Youtube, WhatsApp, Linkedin, Telegram을 통해 공유된 이후의 영상 구조 비교
- 즉, 이 분석은 각 SNS와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다른 구조를 삽입한다는 것을 보임. 이러한 차이점은 각 태그에 할당된 원자와 값 출현 순서에서 비롯됨
'Forensic > 개론 &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리뷰] 메모리 분석 기반의 암호화폐 트랜잭션 정보 추출 방안 연구 (0) | 2025.02.24 |
---|---|
[논문 리뷰] 메신저 전송 기능을 통해 인코딩된 동영상에 대한 유포 메신저 추적 연구 (0) | 2025.02.24 |
[논문 리뷰] icloud ... (0) | 2025.02.24 |
[논문 정리] 메타버스 범죄 동향 및 디지털 포렌식 대응 방안 (0) | 2022.09.21 |
[논문 정리] 메모리 포렌식 기반 키워드 매칭을 통한 다크 웹 사용자 행위 분석 (0) | 2022.09.07 |